티스토리 뷰
요새는 대부분의 집에 방화문이 설치되어 있다. 아파트이거나 개인주택이거나
그리고 그 문에는 자동으로 닫히게 도어 클로저 라는 것이 달려 있을 것이다.
그런데 문이 세게 닫히거나 혹은 반대로 너무 힘이 없이 닫혀서 문이 잠기지 않은 상태가 되기도 한다.
이 기계에 조절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두 개의 1자 볼트 말고는 없다.
이 두개의 볼트로 조절을 하는 것은 알겠는데 만져봐도 당췌 어떻게 하는지 조절이 오락가락이라 쉽지 않다.
문득 그 생각이 나서 인터넷의 판매자료와 설명서등을 토대로 정리를 하였다.
국내의 대부분 판매되는 제품들은 삼화정밀 이라는 회사의 제품으로 보인다. (뭐 그 회사의 과거의 우울한 얘기도 있던데 현재 회사가 그 회사인지는 모르겠지만 정의가 승리한 회사이길...)
이 회사의 도어클로저 점유율이 전체 시장의 2/3 이상이라는 과거의 자료들도 보인다.
시중에 많이 팔리는 제품은 StarXXX와 KingXXX 제품인데 같은 회사 제품인데 Starx 시리즈는 중국 OEM이고 King 시리즈는 국산으로 표시되어 있다.
같은 기능의 제품이면 king 제품이 4천원 가량 더 비싸게 판매된다.
삼화정밀에서 도어 클로저 K630 모델의 설치 영상 링크를 가져왔다. 설치 전 과정이 필요하면 아래 관람.
도어클로저 설치 영상 : https://youtu.be/p0A4t4TWxx0
이 영상중에서 방화문의 속도조절 해주는 부분을 캡춰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위쪽은 1차 속도 조절 밸브, 아래는 2차 속도 조절 밸브라고 되어 있다.
1차 밸브는 문이 열린 상태에서 10도까지, 2차 밸브는 10도 에서 부터 0도인 문닫힌 상태 까지를 담당한다.
좌측 그림속 우측상단에 보면 넓은 각으로 열린 부분이 1차 밸브 영역, 우측 그림에서 좁은 각으로 열린 부분이 2차 밸브의 영역이다.
각 밸브는 두 영역의 닫힘 속도를 제어하는 밸브이다.
아래 설명서에는 영어로 SWEEP과 LATCH로 표현 되어 있는데 각각 1차 와 2차 밸브로 설명을 해놓은 것이다.
두 밸브는 각각의 처리 영역이 다른 밸브 였다.
밸브를 잘 조합해야 문닫힘을 조절하는 줄 알았는데 엄밀히 따지면 각각의 영역만 커버하는 방식이다.
두 밸브를 적절하게 조합을 해서 결과적으로 적절한 문닫힘을 찾아야 한다.
가장 많이 팔린다는 Star 제품과 King 제품의 설명서를 발췌했다.
[STAR 시리즈]
[KING 시리즈]
두 제품 모두 1,2차 밸브의 위치가 같다. (오~ 이런... 나는 제품마다 다른줄 알고 열심히 삽질을....)
Star 제품은 저가형이라 설명서도 없나?
집을 지어보니 대부분의 제품은 설명서를 어딘가에서는 찾았는데 이 도어 클로져는 설명서를 못 찾았었는데 이유는 원래 설명서가 없기 때문이었구나 -_-;;
설명서만 보면 저 밸브의 용도를 알았을텐데 설명서를 볼일이 없는 일반인들은 당췌 이 밸브들의 용도를 알길이 없었겠지...
이제 이 밸브들의 용도를 알았으니 1자 드라이버로 적절하게 돌려서 사용하면 되겠다.
하지만~ 중요한 것이 하나 더 있다.
도어 클로져는 밀어서 닫아주는 제품과 당겨서 닫아주는 제품은 모델명이 다르다. (대부분의 아파트는 당겨서 닫는 내측 설치 제품이다)
그런데 어떤 문은 오른쪽으로 열리고 어떤 문은 왼쪽으로 열리는데 이 방향에 상관없이 같은 도어클로저 제품이 설치된다.
도어클로저 설치시 모델명 상관없이 모두 조절밸브가 문의 손잡이 방향으로 오도록 설치를 한다고 한다.
그러면 문의 손잡이의 위치에 따라서 도어 클로져는 본체가 180도 반대방향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문을 당겨주는 힘이 서로 반대가 되기 때문에 본체의 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설치가 바뀌어야만 하는 것이다.
본체가 180도 뒤집혀서 설치되면???
그렇다 저 밸브의 위치가 서로 반대가 된다. 밸브가 위쪽에 있던 것이 아래 위치로 바뀐다.
어떻게 하면 이 밸브위치를 잘 기억할 수 있을까?
도어클로져가 설치된 면의 문을 마주보고 섰을때
- 도어클로져가 왼쪽 상단에 보이면 ---> 위쪽 밸브가 1차 밸브
- 도어클로져가 오른쪽 상단에 보이면 ---> 아래쪽 밸브가 1차 밸브
이렇게 정리하면 된건가??
저 사진속의 문구에도 있지만 조절 밸브는 한 바퀴 이내에서만 조절하라고 한다. 그리고 밸브 위치가 바뀌면 Slow/Faster의 조작 방향도 반대가 된다. 헷갈리네...
(조절 밸브가 멈추는 것이 없으니 두 세 바퀴 돌아가곤 하드라 , 가급적 초기 세팅이라면 그 상태에서 너무 많이 돌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 위 동영상과 king 제품의 설명 사진은 1,2차 밸브 위치가 다르다. 정확한 정보는 설명서를 꼭 참조하시기 바람.
'House Care, 집사의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E(Power on Ethernet) 전선 배치도 (0) | 2019.03.19 |
---|---|
(발췌) 걸작 BBC 다큐멘터리 리스트 (0) | 2019.03.15 |
콘크리트 주택 결로 방지 대책 자료 (0) | 2019.03.06 |
애플 에어팟(AirPods) 개봉기, airpods vs i9s TWS 비교사용기 (0) | 2019.03.05 |
샤오미 체중계 개봉기와 간단리뷰 (0) | 2019.03.04 |
- Total
- Today
- Yesterday
- 카본바디사수
- Canyon
- 핸드레일시공
- 저렴한가정용숯불갈비후드
- 수지맛집
- 목조썬룸
- 캐이언그레일
- 발코니후드
- 목조온실
- 썬룸
- grail
- 베란다파고라
- UTF마운트
- 우레탄방풍비닐
- 목재썬룸
- 미니화로
- 내집짓기
- 그레일마운트
- 원목침대재활용
- 용인맛집
- 썬룸셀프시공
- 토픽마운트
- 숯불갈비후드
- 천정형에어컨설치
- 월세받는 내집짓기
- 앙카는 꼭 길이 확인하자. #세트앙카는 앙카해머 필요하니 기왕이면 웨지 앙카로 사자. 벽체 깊이 확인되지 않으면 섣불리 먼저박지 말자.
- 토픽속도계
- 보정동맛집
- 그레일콕핏
- 양갈비후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