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누구나 한번쯤 내 집을 지어보는 바램이 있을 것이다.
나 또한 막연한 생각만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막상 집을 짓게되니 건축에 대해 아는 것이 너무 없었다.
수 개월 동안 콘크리트 슬라브 구조의 다가구 주택을 짓는 과정을 간략하게 서술하고자 한다.
내집 건축에 대한 조그만 도움이 될수 있길 바래본다.
건축설계나 도면, 행정 절차등은 배제하고 순수하게 물리적인 건축 자체에 대한 설명을 기록하고자 한다.
다른 과정에 대한 부분은 인터넷이나 서적에서 충분히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리도 실제 건축에 대한 부분도 상황에 따라 소요자재나 순서가 다를 수 있겠다.
나는 직영으로 짓기는 했지만 실제 공사 과정에는 전혀 관여하지 않았으므로 실제 시공 업자의 스타일과 방법이 적용된 공법과 작업순서로 이해 바란다.
나는 아래와 같은 도면 모양의 다세대 주택을 짓고 2층과 3층은 세를 놓을 목적이다.
대지면적은 212제곱미터 정도 이며 용적률은 150% 건폐율은 60% 적용되는 도시개발사업 지역이다.
1. 땅파기
- 건물은 일정한 높이에서 시작되도록 설계에 반영 되어 있을 것이다. 이를 맞추려면 기초부분이 땅속에 위치해야 하므로 땅파기가 선행된다.
2. 전기 인입
3. 수도 인입
- 공사중에도 전기와 수도는 사용을 해야 하므로 우선적으로 전기와 수도를 끌어오는 작업을 한다. 이때 기타 통신,하수 관로도 바로 연결하지 않더라도 후에 연결을 위한 사전 작업을 한다.
집을 짓는 지역이나 도시계획 구역에 따라 다르겠지만 이곳은 민간택지지구로 기반시설이 다 되어 있어서 대지 경계선 인근에 관련 전기,통신,수도,오수등 배관들이 이미 설치되어 있는 지역이다. 땅을 파고 해당 관로들을 찾아 내는 과정이 필요하고 해당 관서에서 인입을 위한 비용을 각각 납부하고 인입절차를 진행해야 한다.
4. 버림콘크리트 타설 준비
- 본격적인 기초작업에 앞서서 버림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비닐을 깔고 그위에 스티로폴을 깔아둔다. 90mm 정도의 스티로폼의 폼이 사용되었다.
5. 버림콘크리트 타설 및 통신,전기 맨홀 매립
- 일정한 위치에 전기와 통신용 맨홀을 설치하고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한다. 통신은 여러 통신사를 다 연결하기 위함인지 4개의 관로가 준비되어 있었다. KT,SKT,LGU,그리고 케이블TV가 아닐까 한다. 신기하게도 이 파이프들을 통해 주변에 각각의 통신사 맨홀로 각각 다르게 연결된다.
4각형으로 파인 부분은 후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될 곳으로 엘리베이터는 지표아래로 약 2미터 , 상부로는 1.5미터 가량이 더 필요하다. 맨홀은 각각 전기와 통신용이며 통신은 내개의 파이프가 나와 있다.
6. 건축공간 먹줄긋기
- 뭐라고 부르는지 모르겠지만 버림콘크리트위에 실제 건물이 지어질 곳을 선을 긋는 작업을 한다. 엘리베이터실도 동일하게 작업한다.
7. 기초작업을 위한 철근 배근
- 집의 기초가 될 콘크리트 바닥을 만들기위해 철근을 놓는다.
8. 기초와 기둥부위 철근배근, 오수 관로설치
- 7번 작업의 연장으로 철근작업을 진행함과 동시에 철근 내부에 각세대에 연결될 오수관로를 매입한다. 기초부분과 기둥부분이 일체화 되도록 기둥에 해당하는 철근도 같이 작업한다. 또 통신 맨홀 부분도 콘크리트가 덮히기 전에 인입배관과 연결시켜야 한다. 해당 건물에 사용할 수도관로도 계단실쪽 코어부분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우리집의 경우 25mm 수도관로가 인입용으로 사용되었다.
9. 기초콘크리트 타설
- 기초에 콘크리트를 붓는다. 우리집의 경우 약 800mm정도의 높이로 부은듯 하다. 후에 필로티 바닥은 다시 한번 레미콘으로 덧 씌운 작업을 하게 된다.
10. 철근배근및 기둥,벽체 거푸집 작업 준비
- 기초콘크리트가 준비되면 곧바로(이 경우는 레미콘 붓고서 다음날) 골조를 위한 거푸집 작업을 시작한다. 우리집의 경우 1층은 필로티 구조라서 계단이 위치한 코어 부분 외에는 모두 기둥이다.
11. 철근배근 및 통신단자함 설치
- 벽체를 만드는 부분엔 1층에 위치해야할 통신과 전기 단자함과 매립이 필요한 스위치 단자함도 같이 설치한다.
12. 단열재를 넣고 거푸집 준비
- 단열재를 내부에 넣고 유로폼(거푸집폼)을 이용하여 거푸집으로기둥과 벽체를 준비.
13. 슬라브 보 거푸집 준비계속
- 벽체내부에 놓이게 될 각종 배관을 넣고 계단실과 벽체들을 전체를 거푸집으로 두름. 2층의 보를 지탱하기 위해서 쇠기둥으로 천정 거푸집을 고정
이때 계단실은 주요한 배관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CCTV를 위한 배관, 태양관을 위한 배관등...
우리는 인덕션과 에어컨등 3상 380V전기를 사용하기 위해 배관을 더 준비해달라고 했다.
(안타깝께도 전기업체가 까먹고 오리발 내밀었지만...)
14. 전기 입전
- 전기 인입을 위한 행정절차 완료와 함께 전기가 들어올 배관이 준비되었으므로 한전을 통해서 전기를 인입 받는다. 간이 계량기를 달고 실제 공사에서 전기를 쓸 수 있도록 한다. 배선은 한전에서 나와서 간이계량기까지 연결해준다.
15. 2층 보와 계단실 단열재 시공및 거부집 작업 , 외벽 아시바 설치
- 계단실과 2층의 보 자리를 위한 거푸집을 만들고 외단열을 위해 스티로폼을 깐다. 본격적인 골조작업이 시작됩에 따라서 인접세대에 피해를 줄이고 후에 외벽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아시바라고 불리는 외부 펜스를 두를 작업을 이때 시작한다.
계단실은 좌측처럼 합판을 먼저 깔고 층계를 만든다. 본격적으로 골조가 올라감에 따라 외부에 펜스를 두른다.
16. 1층 보 철근 배근
- 필로티 구조의 주택중 가장 중요하다는 보 부위에 철근을 배근한다. 내진설계의 주택이라 이 부분에 소요되는 철근이 어마어마하다. 가장 철근작업이 오래 소요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17. 전기,통신용 배관 설치
- 철근이 완료되면 콘크리트에 매립되어야할 전기와 통신용 CD관을 설치한다.
18. 1층 기둥,2층 바닥 레미콘 타설
- 전기,통신관로와 수도, 하수에 대한 배관이 마무리 되면 레미콘을 타설한다.
#2 상부 골조 편에서 계속
'콘크리트 다가구 주택 건축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세 받는 내집 짓기 - #6 수도와 하수 관로 설비 (0) | 2018.11.20 |
---|---|
월세 받는 내집 짓기 - #5 수입평기와 지붕 시공 (Cobert) (1) | 2018.11.20 |
월세 받는 내집 짓기 - #4 고벽돌 조적공사 (0) | 2018.11.19 |
월세 받는 내집 짓기 - #3 시스템에어컨 내부 전기공사 (0) | 2018.11.19 |
월세 받는 내집 짓기 - #2 상부 골조 (0) | 2018.11.19 |
- Total
- Today
- Yesterday
- grail
- 수지맛집
- 발코니후드
- 내집짓기
- 월세받는 내집짓기
- 토픽속도계
- 우레탄방풍비닐
- 원목침대재활용
- Canyon
- 숯불갈비후드
- 카본바디사수
- 캐이언그레일
- 양갈비후드
- 그레일마운트
- 목재썬룸
- 목조온실
- 썬룸
- 미니화로
- 용인맛집
- 보정동맛집
- 앙카는 꼭 길이 확인하자. #세트앙카는 앙카해머 필요하니 기왕이면 웨지 앙카로 사자. 벽체 깊이 확인되지 않으면 섣불리 먼저박지 말자.
- UTF마운트
- 토픽마운트
- 베란다파고라
- 썬룸셀프시공
- 핸드레일시공
- 저렴한가정용숯불갈비후드
- 그레일콕핏
- 천정형에어컨설치
- 목조썬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